뜸 시 간 및 사 용 법
뜸 시 간 및 사 용 법
화면이 움직이면서 설명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과학으로 "회음뜸"을 합니다.
- 옷을 입은채로 뜸기에 앉아 -
화면이 움직이면서 설명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과학으로 "회음뜸"을 합니다.
- 옷을 입은채로 뜸기에 앉아 -
뜸시간 및 사용법
본 의료기는 옷을 입은 채로 뜸기에 앉아 "항문, 회음뜸 만으로 전신에 뜸(灸)을 할 수 있는 회음뜸기 입니다.
회음은 "임맥, 독맥, 충맥"이 교차하는 유일한 뜸자리입니다.
* 본 뜸 의료기 는 습관성 및 부작용이 없는 순수자연의학입니다.
옷을 입은 채로 뜸기에 앉아서 "회음, 항문 뜸 시간 및 사용법"
뜸하기 전 기기 사용법
* 양초는 처음 구입 시 사용 샘플로 드린 양초와 같은 크기의 양초를 당사에서 구입하시어 사용 하시고, 컬러 양초, 또는 규격 이외의 굵은 양초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본 의료기는 전기를 사용치 않고 양초를 사용하는 화기 이므로 어린이가 어른이 없는 사이 촛불로 장난 할 수 있는 환경 등을 주어서는 안됩니다.
* 본 의료기의 약쑥 넣는 서랍에 뜸용 약쑥을 서랍크기의 절반만 넣습니다. 그 양이면 약 3시간 뜸을 할 수 있는데 하루에 1시간 뜸을 한다면 3일을 쓸 수 있습니다.
약쑥을 교환치 않으면 뜨거울지언정 뜸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습니다. 약쑥은 시중 한약 건재상에서 판매하며 손으로 비벼서 쑥 향이 향긋하면 좋은 약쑥입니다. 그런데 들에서 채취한 떡 해먹는 ‘떡쑥’을 말려서 ‘떡쑥’으로 뜸을 하면 근육이 굳는 해로움도 있으므로 꼭 약쑥으로 뜸을 하여야 한다.
본 뜸 의료기로 약쑥 소요비용: 1개월·약 12,000원(태우는 방식이 아니므로 쑥 비용이 적게 든다.)
재래식 뜸 약쑥 소요 비용: 1개월 약 12만원 ~ 14만원
* 본 뜸 의료기기는 고장의 염려가 전혀 없으나 "약쑥 서랍"은 보통 2-3년경과 후 교체 하셔야 하는 소모품입니다.
약쑥 넣는 서랍에 쑥이 넣어진 상태에 물을 넣어서는 안 됩니다. 쑥의 대표적 성질은 제습제(습과 냉을 제거하는) 이므로 쑥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물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쑥에 물을 넣고 뜨거운 수증기 올라오는 것을 "쑥찜"이라 하는 것인데 지금 이것은 전통의술 뜸(灸)에 관한 것입니다. 쑥뜸은 물과는 전혀 연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쑥 넣는 서랍에 물을 넣지 마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은 지금 뜸(灸)을 위해서 이 글을 읽고 계십니다.
* 뜸을 하실 때 복장은 꼭 평상복, 또는 간편복으로 옷을 입은 채로 앉아서 하십시오. 쑥 냄새가 옷에 묻지 않습니다.
뜸기에 앉아서 TV,신문, 독서 등을 하시면서 "항문, 회음 뜸" 하십니다. 그런데 효과가 더 좋을 것 같은 생각으로 옷을 벗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오히려 뜸의 효과가 떨어지므로 꼭 옷을 입고하십시오. 그 이유는 약쑥 속에 휘발성 정유 성분이 있는데 다른 성분과 함께 추출 되어져 나올 때 공기와 접하게 되면 공기에 희석되어 집니다.
그런데 옷을 입으면 옷 속에 유효 성분이 갇혀진 후 ‘항문혈’과 ‘회음혈’에 흡수되어 집니다.
* 온도조절 : 온도를 내리고 싶을 경우 양초의 기울기를 양초 넣는 문 쪽 5mm 정도 기울어 주시고 온도를 높이고 싶을 경우 쏙 듣는 서랍을 5mm 정도 빼주시면 온도가 올라가므로 조정 사용하십시오. 그리고 뜨겁다고 느낄 때 얇은 면수건을 뜸열 구멍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십시오.
회음, 항문 뜸 시간
* 건강 예방을 위해서 뜸을 할 경우 하루 1회 20~30분 ‘회음뜸’을 합니다.
* 근육통증치료를 위해서 1회 40~50분 하루 3회 회음뜸을 하며 각 회차 간격은 20분으로 하며 아침, 점심, 저녁을 구분치 않습니다.
* 어린이의 건강을 위해서 하루 1회 15분~20분 회음뜸을 하면 좋습니다.
* 위장근육 통증은 뜸기를 소파 앞에 두고 뜸기에 엎드리면 가슴은 소파에 기대게 됩니다. 이렇게 위장등 뜸을 20분 정도 하면 통증이 다스려 지는데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을 권하며, 다른 증상으로 뜸을 하실 경우는 주기적 병원 검사를 통해 몸의 변화를 주시하시기 바랍니다.
* 회음뜸은 1시간 이상 연속해서 하는 것 보다는 1시간 뜸을 한 후 10~20분 정도 잠시 휴식을 취한 후 다시 하는 것이 더욱 효과 적입니다.
* 남성의 회음부 통증, 음낭부 통증, 치질의 통증, 항문의 가려움을 동반한 통증일 경우 생식기를 세적 후 연고등을 바르지 않은 상태에서 속옷은 면 소재 속옷으로 입으시고 1회에 40분, 하루 2회, 대체로 통증이 완화 되면 하루 30분 3회 뜸을 합니다.
* 부인병 등이 있는 여성이 회음뜸을 하면 자연스럽게 자궁에 뜸을 동시에 하게 됩니다. 여성에게는 자궁부가 하단전에 속합니다. 냉증 등이 있는 분은 뜸뜨는 과정에 고였던 분비물이 흘러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정상입니다.
그런데 흐르는 분비물이 엿물처럼 끈적한 상태로 관찰 되면 자신도 모르는 종양의 의심이 되므로 속히 병원의 정밀검사를 받아 보실 것을 권합니다.
* 건강한 사람은 하체가 따뜻하고 배꼽 위 상체는 시원 합니다.
그런데 정반대로 하체가 차갑고 가슴에 열이 있는 사람이 생불(生火)회음뜸을 하면 음식이 원인이 아니면서 설사를 합니다. 그런 후 가슴이 시원해지며 하체는 따뜻해집니다.
이는 상열이 빠져 나갈 때 배도 아프지 않는 묽은 변 증상인데 이에 수승화강(水承火降)이 이루어집니다.
* 발바닥 용천혈에 뜸을 할 경우 소파 앞에 뜸기를 두고 소파에 앉은 후 양말을 신고 두발을 포개어 뜸열 나오는 곳에 올려놓고 발등은 수건으로 덮으면 용천뜸이 됩니다.
피곤이 풀리지 않을 때 시간제한 없이 수시로 해 보시기 바랍니다.
* 본 뜸 의료기로 기타 뜸 시술 응용은 서점에서 판매하는 "뜸(灸)의학" 전문 책으로 응용 하실 수 있습니다.
※ 주의 : 회음뜸(灸)을 하시면서, 주기적으로 병원 검사로 증세의 현 상태를 확인하십시오.
기타(한방, 양방) 전문의와 상담을 하십시오.
회음, 항문 뜸 시간
* 건강 예방을 위해서 뜸을 할 경우 하루 1회 20~30분 ‘회음뜸’을 합니다.
* 근육통증치료를 위해서 1회 40~50분 하루 3회 회음뜸을 하며 각 회차 간격은 20분으로 하며 아침, 점심, 저녁을 구분치 않습니다.
* 어린이의 건강을 위해서 하루 1회 15분~20분 회음뜸을 하면 좋습니다.
* 위장근육 통증은 뜸기를 소파 앞에 두고 뜸기에 엎드리면 가슴은 소파에 기대게 됩니다. 이렇게 위장등 뜸을 20분 정도 하면 통증이 다스려 지는데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을 권하며, 다른 증상으로 뜸을 하실 경우는 주기적 병원 검사를 통해 몸의 변화를 주시하시기 바랍니다.
* 회음뜸은 1시간 이상 연속해서 하는 것 보다는 1시간 뜸을 한 후 10~20분 정도 잠시 휴식을 취한 후 다시 하는 것이 더욱 효과 적입니다.
* 남성의 회음부 통증, 음낭부 통증, 치질의 통증, 항문의 가려움을 동반한 통증일 경우 생식기를 세적 후 연고등을 바르지 않은 상태에서 속옷은 면 소재 속옷으로 입으시고 1회에 40분, 하루 2회, 대체로 통증이 완화 되면 하루 30분 3회 뜸을 합니다.
* 부인병 등이 있는 여성이 회음뜸을 하면 자연스럽게 자궁에 뜸을 동시에 하게 됩니다. 여성에게는 자궁부가 하단전에 속합니다. 냉증 등이 있는 분은 뜸뜨는 과정에 고였던 분비물이 흘러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정상입니다.
그런데 흐르는 분비물이 엿물처럼 끈적한 상태로 관찰 되면 자신도 모르는 종양의 의심이 되므로 속히 병원의 정밀검사를 받아 보실 것을 권합니다.
* 건강한 사람은 하체가 따뜻하고 배꼽 위 상체는 시원 합니다.
그런데 정반대로 하체가 차갑고 가슴에 열이 있는 사람이 생불(生火)회음뜸을 하면 음식이 원인이 아니면서 설사를 합니다. 그런 후 가슴이 시원해지며 하체는 따뜻해집니다.
이는 상열이 빠져 나갈 때 배도 아프지 않는 묽은 변 증상인데 이에 수승화강(水承火降)이 이루어집니다.
* 발바닥 용천혈에 뜸을 할 경우 소파 앞에 뜸기를 두고 소파에 앉은 후 양말을 신고 두발을 포개어 뜸열 나오는 곳에 올려놓고 발등은 수건으로 덮으면 용천뜸이 됩니다.
피곤이 풀리지 않을 때 시간제한 없이 수시로 해 보시기 바랍니다.
* 본 뜸 의료기로 기타 뜸 시술 응용은 서점에서 판매하는 "뜸(灸)의학" 전문 책으로 응용 하실 수 있습니다.
※ 주의
회음뜸(灸)을 하시면서, 주기적으로 병원 검사로 증세의 현 상태를 확인하십시오. 기타(한방, 양방) 전문의와 상담을 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