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소개동영상/뜸시간 및 사용법쑥뜸의 혁명제품소개사보침술 연구커뮤니티English日本語



 인체에는 유백색의 가는 거미줄 같은 경락선이 장기및 각 조직으로 연결 되어 피부 표피에 氣의 출입문격인 미세한 크기의 뜸, 침구멍 경혈로 마감된다.


 경혈도에 의한 경혈은 365개가 있는데 그 경혈 이라는 작은 구멍을 질환 증상별로 정확히 찿아 뜸 또는 침을 놓는 자리이며 대기의 기운이 들어오는 구멍이다.


 연구 자료에 의하면 인체의 수분이 마른 미이라에서는 경락을 발견치 못했고 10년 이상 장기 보관된 젖은 사체에서는 경락이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회음


침의 원리




 뜸의 원리를 설명키 위해 우선은 침(針)의 원리를 이해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침은 금속으로 된 바늘 같은 긴 침을 피부 경혈 자리에 의사가 꼽는다.


 그러면, 금속 침이 약이 되는 것이 아니고 침이 순간적으로 “안테나”구실을 하게 된다.


 인체 자체는 뇌와 심장에서 생겨진 생물전기가 전신에 걸쳐 흐르는 폐쇄 회로인데, 병든 회로의 고장 난 경혈을 찾아 침을 꽂으면 침은 자동으로 인체의 고장 난 생물전기 와 연결된다.


 경혈과 연결된 경락선의 고장 난 장기는 전기적 성질이 음(-)전위로 변화 되어있고 연결된 침도 자동으로 전기적으로 음전위 성질을 갖게 되므로 대기중에 무한으로 떠도는 양(+)전위적 기운이, 침의 음(-)전위와의 전기적 인력 작용에 의해 빨려 들어와 고정난 장기의 음(-) 전위를 중화 시켜 침의 목적을 실현 시킨다. 결국 고장난 신체 부위의 전기적 성질을 정상으로 되돌리어 세포를 정상화 시키는 목적인 것이다.

뜸(灸)의원리



 뜸은 불(火)이 없으면 뜸의 원리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 

 타오르는 불은 전기적으로 양(+)전위 인데, 침이 대기 중에 있는 양전위가 필요한 것처럼 불이 양전위 인데 불이 없고 다만 쑥열만 있다면, 그것은 뜸이 아니다.

 침은 자연 상태의 대기중 양전위를 이용하는데 반해 뜸은 불이라는 온열 자극을 갖은 불 고유의 양 전위를 이용 하는 것이다.


 쑥뜸은 정규 의료의 한 종류인데 쑥찜, 쑥훈증을 쑥뜸으로 혼동 하는 경향이 있고, 전기열 또는 쑥을 항아리에 태우므로 무조건 “뜸”이란 용어를 쓰는 경향이 있는데 이 또한 고쳐야할 사항이며 각종 정보의 홍수 속에서 무엇이 옮은 것인지 우선은 의료 이용자가 잘 구별 하여야 한다.

생불(生火)쑥뜸기의원리



뜸(灸)이 되기 위한 2大 기본 요소


1. 진짜 타오르는 불(火)을 피부로 받는 것과

2. 불(火)로서 추출된 약쑥의 성분이다.

집열판을 내장 했습니다.



 본 뜸기는 위의 첫 번재 기본요소 되기 위해서 “타오르는 불”의 이용을 위해 전자파가 방출되는 전기를 사용치 않고 “양초 한 자루”의 열을 사용했다.


 원래 양초는 타면서 그을음이 생기며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 태우면 그을음을 퍼낼 정도로 생겨 지는데 오랜 기간 양초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연구를 통해 작은 열을 모으고, 모아진 열을 증폭 시키는 기술의 집열판(集熱板) 제작에 성공 하였고, 집열판 덕분에 양초를 천연의 열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열로 추출된 약쑥의 성분은 약쑥 혼자서 피부 ‘뜸구멍’으로 들어 갈 수 없다. 뜨거운 열은 피부 ‘뜸구멍’을 넓히며 천연의 열은 전기적으로 양(+)전위 이므로 병든 부위 음(-)전위와 전기적 인력 작용에 의해 천연의 열이 ‘뜸구멍’으로 들어 갈 때 약쑥의 성분을 함께 끌고 간다.


 그렇게 하여, ‘뜸구멍’에 해당 하는 부분에서 인체 뜸의 작용이 생겨지는 것이다. 비유를 하면 운송자동차를 천연의 열이라 하면 추출된 약쑥의 기운은 운송자동차의 화물이라 하겠다.


 그런데 재래식 뜸은 약쑥을 태우는 방식 이므로, 모든 물질은 태우면 제로(空)가 된다. 재래식 뜸은 피부 바로 위에서 타는 약쑥의 성분을 얻기 위해 윗부분 약쑥을 태워서 연기로 공중에 날려 버리는 격이다.

양초를 사용하는 이유



 열을 얻기 위한 세상의 대부분 제품은 당연히 전기를 사용하여 열을 만들어 낸다.

 본 연구자는 전기를 사용 할 줄 몰라서 전기를 사용치 않은 것이 아니고 주요한 이유는 어쩔 수 없이 전기로 인해 생겨지는 전자파 때문이었다.


 색깔도 냄새도 없는 “제4의 공해”로 불리는 전자파는 열(熱), 비열(非熱), 또는 전기적 자극, 무리한 컴퓨터 작업등을 통해 자신도 모르게 피해를 주어 각종 질환을 불러들이는 전기적 파장이다.


 우리나라도 이제는 전자파를 공식적으로 “환경공해‘로 규정하고 있다.

 지금도 전기 요, 전기방석을 아무렇지 않게 연속 사용 하는 이들이 있는데, 실험 자료에 의하면 전자파가 특히 면역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래서 전기는 뜸(灸)의 기본 원리인 불(火)과 추출된 약쑥성분의 절묘한 조화 에 부적합 하며 건강하기 위한 기기에 더욱 전기를 사용할 수 없었다.


 전기에 대하여 잘 모르는 이들이 보면 양초를 사용 하는 것이 이상할 것 같지만 인체는 원래 오염되지 않은 자연인데 자연은 자연으로 다스려야 한다.


 전자파는 전기선 음(-)전류에서 가만히 있는 양(+)전류로 로 이동하면서 에너지가 생기는데 이때 발생 하는 음(-)의 전기적 파장이 전자파이다. (서점에 가면 전자파에 대한 책이 여러 종류 책이 있다.)


 그래서 양초의 열을 기기에서 증폭 하여 사용하는 이유이다.

사용방법

1.


 구입하여 박스를 개봉 한 후 휴대용 가방 속에 있는 뜸 의료기를 꺼내 놓은 상태



2.


 옷을 입은 채로 앉는 좌대. 108개의 뜸열 나오는 구멍에 옷을 입은 채로 그대로 앉습니다. 옷을 벗고 앉으면 뜸의 효과가 감소됩니다.



3.


 열려진 좌, 우 문 안은 약쑥, 양초 보관함입니다.

 손소독제, 신너 등 가연성 물건은 보관하지 않도록 합니다.


4.


 밖에서 양촛불을 켜서 양초를 내부 양초 꽂이에 꼽습니다. 

(약쑥 성분이 열로 추출이 되어 뿜어져 나오는데 쑥을 태우는 방식이 아니므로 쑥탄 냄새, 연기가 없고 오히려 향긋한 쑥향이 뿜어져 올라옵니다.)


 얇은 양초 1개를 사용 하며, 뜸을 안 할 땐 양초를 꺼내어 불을 끄고 다시 꽂이에 꽃아 두었다가 뜸 할 때 다시 처음처럼 합니다. (청소할 필요가 없습니다.)



5.


양촛불을 켠 상태입니다.



6.


 쑥 넣는 서랍에 약쑥을 서랍크기의 절반만 넣으시면 그 양으로 약 3시간 뜸을 할 수 있는 양입니다.

 예를 들면 하루에 1시간 회음 뜸을 하면 3일을 쓸 수 있습니다.



7.


 양초불과 약쑥을 넣었으면 뜸을 하기 위해 양초 넣는 문을 닫습니다.



8.



 회음뜸을 하기 위해 당사에서 제공한 방석을 올려놓습니다. 

 약 5분 후 더운 열의 향긋한 쑥향이 올라오면 평상복 등 옷을 입은 채로 그대로 뜸기에 앉아 회음뜸을 시작 합니다.

 너무 뜨겁다고 느끼면 뜸열 나오는 구멍위에 얇은 수건 등을 올려놓고 뜸을 하십시오.


 매일 뜸 일지를 작성 하며 뜸을 하시면 병원 검사 시 매우 도움이 됩니다.



9.



 이제 회음뜸을 할 준비가 끝났습니다.

 그대로 옷을 입은 채로 뜸기에 앉아 그림처럼 회음뜸을 합니다. 쑥냄새가 옷에 묻지 않습니다.

 남녀노소 이와 같이 옷을 입은 채로 똑 같은 방식으로 회음뜸을 합니다.

 보통은 1회에 30~40분 뜸을 합니다.


  • 옷을 벗고 뜸을 하면 뜸 효과가 감소됩니다.
  • 쑥 넣는 서랍에 물을 넣으면 안 됩니다.
  • 뜸을 하다보면 여성의 경우 손발이 차갑고 냉증이 있는 분은 누런 분비물이 속옷을 적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 여성의 경우 회음, 자궁 뜸을 하는 중 엿물 같은 끈적한 누런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궁암 일 때 암의 시체이며 병원 검사 와 의료진과 의논 하십시오.
  • 뜸을 하면 졸리고 나른해 지는 것은 경락에서 뜸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 뜸을 하면 언젠가 아팠던 부위가 더욱 아파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명현 반응이며, 갈근(칡) 을 차로 마시면 명현 반응이 가라앉습니다.
  • 남성의 경우 뜸을 하는 중 피부 일부가 약간 가려운 경우가 있는데 술과 담배, 약물을 많이한 경우에 더욱 그러 합니다. 그대로 두면 수일 내에 괜찮아 집니다.
  • 양초는 당사 규격 양초를 사용 하시고 약쑥은 뜸용으로 가공한 약쑥을 사용 하십시오. ‘쑥’ 비용은 1개월에 약 12000원 소요.



발바닥 용천뜸, 손바닥 뜸, 코뜸, 귀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