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료 및 공 지
자 료 및 공 지
심한 스트레스가 신경세포 죽인다.
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경세포가 죽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로절린드 프랭클린 대학 의과대학의 “데니얼 피터슨 박사”는 의학 전문지 저널(Journal of Neuroscienoe)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논문에서 스트레스가 심하면 기억,학습,감정을 관장하는
뇌부위인 “해마(海馬)”에서 새로 생성되는 신경세포중 상당 수가
죽는 것으로 쥐 실험결과 확인 되었다고 밝혔다.
“해마”는 사람이나 쥐의 경우 평생 세로운 신경세포가 생성되는
뇌 부위중 하나이다.
연구팀의 실험은 새끼 쥐들을 한 마리씩 나이든 쥐 2마리가 있는
우리안에 넣었다. 그러자 새끼 쥐들이 나이든 쥐들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아 스트레스 호르몬이 6배나 증가 했다.
이때 새끼쥐들의 뇌조직을 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해마에 의한
신경세포 생성에는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 새로이 생겨난 신경세포는 일주일이 자나자 3분의1밖에 남지 않았다.
연구팀은 또다른 실험을 통해 해마에 의해 새로 생성된 신경세포를 구별되도록 표시를 하고 일주일 후 스트레스를 준결과 한달이 지나자 완전히 자란 새로운 세포가 3분의 1밖에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심한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그 즉시 신경세포가 죽는것이 아니라 최소한 24시간 이상 경과해야 죽기 시작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 이라고 지적 했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받은후 세포가 죽는 여유 시간이 있으므로
투약등을 통해 세포의 죽움을 막을수 있다고 말했다.
------------------------------
필자가 회음뜸 연구를 하면서 특히 한국 부인들 에게서 우울증
환자가 의외로 많음에 놀랜바 있는데, 우울증의 시초가 스트레스와 무관치 않다고 본다.
우리나라 전래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관계를 고부간의 갈등으로 표현 하는데 위 실험쥐 처럼 나이든 쥐와 새끼쥐의 관계처럼 시집살이의 묘한 생활속 관계에서 스트레스가 반복된다.
젋고 영리한 여성이 시집살이 수년후 기억력이
감퇘 했다고 하소연 하며 필자를 방문한 우을증 여성이 있었다.
비단, 그 여성 뿐 만이 아니라 식구들과의 관계, 남편과의 관계,
기타 스트레스의 요인은 무수히 많다.
뜸은 현대의학적 연구자료에 의해서도 신경계통과 내분비선에
영향을 미친다. 뜸은 내분비선의 기능을 조절하여 진정작용,
진통작용을 한다.
그리고 교감신경 계통을 긴장시켜 신상선 호르몬이 잘분비되게
하며 심장 박동을 강화시켜 피가 잘 흐르게 한다.
그리고 중추신경과 말초신경 에 영향을 주고 말초신경 기능장애의 회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이미 연구 발표 된바가 있다.
위의 실험에서 심한스트레스가 신경세포를 죽이므로 기억과
학생들의 학습, 감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는
연구로 밝혀진 것일뿐 우리들 생활속에서 스스로 감지하고 있는
스스로 지혜로 극복해야할 우리들 스스로의 문제인 것이다.